Network 모험기 (27) 썸네일형 리스트형 [#3-8]BGP의 빠른 Take-over(1/2) 네트워크를 업으로 삼으시는 분이라면 누구라도 들어왔을만한 주제를 들고 왔습니다. '더 빠르게 서비스 정상화 안되냐!!! ' 혹은 '더 빨리 라우팅이 넘어갈 수 없냐!!!' 바로 Take-over에 대한 이야기를 시작해볼까 합니다. 그중에서도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고 봐도 무방한 BGP의 빠른 Take-over를 위해선 무엇을 해야하나 입니다. 시작해보겠습니다. 0. 개요 사실 BGP는 라우팅 프로토콜 중에서도 세부적인 정책 적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많은 ISP에서 사용하고 있고, 기업 입장에서는 이러한 ISP와 연결되는 구간에서 BGP를 사용하곤 합니다. 물론 꼭 ISP만 쓰라는 법은 없고, 내부에서도 BGP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죠. 상황에 따라서, 용도에 따라서, iBGP던 eBGP던 .. [기타]Prefix list와 ACL의 차이 실습환경도 메롱이고, 주제가 선정되기 전인데 뭔가 쓰긴 써야겠고 싶어서, 정말 별거 아닌 내용을 들고 왔습니다. 사실 저는 초창기에 Prefix-list를 왜 쓰는지 잘 몰랐습니다. 약간 'Prefix-list ⊂ ACL'으로 생각되었거든요. ACL에 비해서 낯선 Config와 쓸데없이 Config가 길어서 거부감이 있었습니다. 이제는 정확히 왜 쓰고, 어떻게도 가지고 놀수 있는지 알기때문에 한번 공유해보록 하겠습니다. 1. Prefix-list Prefix-list부터 무슨 의미인지 어떻게 사용하는지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Prefix-list는 말그래도 Prefix들의 list를 의미합니다. 너무 당연한 소리라고 생각되시겠지만 정말 중요합니다. 10.0.0.3/24와 10.0.0.5/24의 .. [#1] DHCP 가지고 놀기 3탄 이번에는 원격지가 아닌 L3(혹은 Router)에서 DHCP Pool을 생성해서,이전처럼 원격지에 있는 DHCP 서버가 아닌 로컬에서 자체적으로 DHCP 요청을 처리하는 방식을 해볼까 합니다. 사실 말만 들어보면 'IP를 요청한 Host에게 NW장비가 IP를 준다'라는 간단한 개념이지만, 이마저도 파고들자면 또 다른 이야기가 있더라구요. 제가 확인했던 내용들을 한번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언제나 그랬듯, 구성도부터 보겠습니다. 1. 구성도 구성도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하자면, 이중화를 위한 VPN용 라우터 2대, 그리고 사용자(Host)용 L2스위치 1대 그리고 Host로 구성된 환경입니다. HSRP는 각 서브넷의 1 번 IP로 돌고있고, 왜 HSRP를 돌렸는지에 대한 내용은 추후 말씀드리겠습니다.. [L3]OSPF 설정 따라하기 자. 오늘은 제가 특정 고객으로부터 아래와 같은 RFP를 받은 네트워크 엔지니어라고 가정해보고, 하나하나씩 요구사항을 반영하는 식으로 글을 써볼까 합니다. 사업장 내부 LAN에는 IS-IS, EIGRP, OSPF 혹은 Static 라우팅과 같은 다양한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지만! 오늘은 OSPF로 구성된 사업장을 설계한다는 느낌으로 진행할겁니다. 전체적으로도, 각 부분적으로도 유익한 정보가 되면 좋겠습니다. 그럼 아래 구성도와 RFP를 한번 보시죠. 1. 고객 요청 구성도 2. 고객 요청 세부사항 - 구성도의 IP와 Area를 따르고, 인터페이스도 구성도와 동일하게 설정할 것 - 각 Loopback IP에 대해서는 모두 라우팅 테이블 내에 있어야함 - Area0과 Area1은 중요한 연결.. [L2]Track을 활용한 Gateway 다중화 바로 Gateway의 이중화의 심화 과정에 대해서 진행해보겠습니다. 우리가 Gateway를 이중화 하는 이유는 당연하게도 서비스의 연속성을 위함입니다. 그렇다면 당연하게 바탕에 깔려있어야할 조건이 Gateway가 되는 장비에서 서비스를 위한 정상적인 Routing이 있어야 한다는것입니다. 아래의 경우를 보시죠. Host의 Gateway는 정상적으로 연결이 되어있지만, Gateway가 되는 장비에서 Internet회선이 Down된 상황입니다. 최악의 상황에서는 서비스 불가, 최선의 상황에서는 아래와 같은 불필요한 Traffic flow가 발생하게 되는것이죠 물론 어느정도 설계가 되있는 상태에서 위와 같은 Flow가 가능하지만, 굳이 Router1을 거쳐서 통신할 필요가 있을까요?저는 없다고 생각.. [L2]FHRP(VRRP, HSRP, GLBP)에 대한 간단한 이해 네트워크를 하시다보면 설계 단계에서 빠지지않고 등장하는 다중화에 대해서 설명해보고자 합니다. 우리가 서울에서 부산으로 간다고 했을때, 도로에 문제가 생겼거나, 너무 막히는 상황이라면 다른길로 향하듯, 특정 상황을 대비하여 이중화 삼중화 혹은 다중화하여 문제가 발생하지 않은것처럼 네트워크를 구성해야만 하죠 중요한 것은 서비스의 연속성이니까요 ! 우리가 L3 level에서 Dynamic routing Protocol을 활용한다던가,Floating routing 을 활용하여 Static 라우팅에서도 다중화를 하고 있다는 것은 많이 아실겁니다. 이번 포스팅은 L3의 Redundant 프로토콜을 완벽하게 이해하기 전에, L2부터 짚고넘어가자는 취지에서 작성하였고, 몰랐던 내용이 있으면 알아가셨으면 좋겠습니다... [L2]VTP와 MST 연계 구성 오랜만에 글을 쓰네요. 결국 CCIE는 취득을 하지 못했습니다만, 공부한게 아까워서라도 공유하고자 이렇게 글을 써보겠습니다. 시험 후기는.. 정말 쓸 내용이 없을때, 한번 정리하기로 하고, CCIE 시험 문제에 나왔던 내용을 복습 겸 공유하는 시간을 당분간 가져보고자 합니다. 공유라고 했지만, 저도 중간중간 잊어버리는 내용이 많아서,거진 제 학습 노트가 되고 있는 블로그지만 일단 꾸준히 작성해보겠습니다. 본 편에서는 VTP, MST에 대한 내용을 다룰것이고, 두개를 혼합해서 같이 설정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프로토콜에 대한 정의나 세부적인 내용은 Cisco 공식 홈페이지나 더 잘 정리되어있는 글들이 많기에,제가 겪은 실무적인 느낌을 가미하여 말씀 드리겠습니다. 1. VTP 란 VLAN Tru.. [#3-7]BGP route-reflector 공부하기 BGP 하나에 엄청 많은 정보가 있는줄은 알았는데, 이만큼 썻으면 소재가 고갈될 법도 한데, 아직 산더미 같이 남았습니다. '이제 BGP 조금 안다' 라는 생각에 스스로 떳떳해질 수 있게 마지막까지 달려봅시다 이번 시간에는 BGP의 기능 중 Route-reflector(이하 RR)에 대한 내용을 학습해 볼까 합니다. 추후에 MP-BGP를 활용한 MPLS도 다뤄보려는데, 이를 위해서는 RR에 대한 내용이 반드시 선행되어야하기에, 별도 포스팅으로 다뤄봤습니다. 시작하겠습니다. 1. Route-reflector란 ? iBGP를 구성할 경우, 가급적 구성해야하는 Full mesh 구성을 대신하기 위하여, RFC 4456에서 정의된 기능 중간에서 Prefix를 동일 AS 다른 라우터들에게 반사해주는 역할 기본적으..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