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twork 모험기

(27)
[#1]나는 누구,, 여긴 어디,, (DHCP) 2탄 전 글에서는 client입장에서 DHCP가 어떻게 동작하는지, 어떻게 서버로부터 IP를 받아오는지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해봤는데요 이번에 출장을 다녀오면서 Network 장비 입장에서 원격지에 있는 DHCP를 통해 어떻게 IP를 받아오는지에 대한 공부를 하고와서, 혼자 알기 아쉬워서 이렇게 공유드리고자 글을 씁니다. DHCP 서버의 위치는 크게 2가지로 정의했습니다. 1. Client와 동일한 Network에 위치 2. Client와 다른 Network에 위치 사실 네트워크 장비가 DHCP 서버로 동작하는 것도 나누고 싶었지만, 그건 분류 1.에 속한것같아 제외했습니다. 여기서 Network란 Broadcasting을 했을때, Packet이 전달되는 도메인이라고 이해해주세요 하나씩 살펴 보겠습니다. 1...
[#1]나는 누구,, 여긴 어디,, (DHCP) 네트워크 엔지니어를 하다보니까 그런지 모르겠지만, 문득 너무 당연하게 누리고 있는 편의나 기능이 어떻게, 어떤 원리로 동작하고 있는지 궁금하진 않으신가요? 저는 밥을 먹을때나, 혼자 명상을 하거나, 누군가와 대화를 하고있을때도 문득 생각이 들더라구요, 그 중에 어떻게 보면 통신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는, DHCP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 합니다. 우리가 학교, 카페 혹은 직장에서 Wi-Fi에 접속할 떄, 아래처럼 어떤 네트워크에 연결할 지 선택을 하고, 필요하면 암호를 입력하곤 하죠. 그럼 인증의 단계는 생략하고, 어찌저찌 무선에 연결이 되었다고 가정해봅시다 ! 왠만한분들께서 다 아시다시피, End-to-End 통신에는 반드시 IP Address가 필요하죠. 수동으로 IP 주소나 서브넷, Gateway 주..
[#0] 네트워크를 시작하며.. 안녕하세요. 저는 네트워크 엔지니어를 하고있는 사람입니다. 글쎄요,, 엔지니어하면 뭔가 거창한것같으니, 사람과 사람을 잇는 일에 흥미를 두고 업으로 삼은 사람이라고 하죠. 시작하게 된 계기는 스스로 명확하지 않은 내용을 재정립해보면서 자그마한 지식공유? 정보 중고나라? 같은 블로그를 만들어보자 하고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어떤 이야기를 써내려갈지 그때그때마다 다르겠지만, 찾아주시는 모든 분들의 고민을 해결하면서, 즐겨찾기에 추가가 되는 날까지 열심히 해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