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 모험기 (27) 썸네일형 리스트형 [#3-6]BGP aggregate 활용하기 오늘은 BGP aggregate에 대한 내용을 알아보겠습니다. Lab에는 지난번 작성했던 Community에 대한 내용과 정규식에 대한 내용도 포함되어있으니, 잘 모르시는 분은 읽고 오시는것도 좋습니다. aggregate라는 개념은 지난번 BGP best path selection을 공부하면서 처음 알았고, 낯선 개념이니만큼 글이 두서가 없더라도 이해하시면서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aggregate는 사전적 의미로 함축을 의미한다는것을 상기하면서 바로 LAB으로 들어가겠습니다. 1. 구성도 지난번 Community를 설명할때 사용한 구성을 재활용하겠습니다 각 라우터는 Router2와 eBGP 혹은 iBGP로 연결되어있고, 모든 대역들이 각 라우터에서 광고받고 있습니다. 시나리오#1 aggregate-.. [#3-5]BGP Community 활용하기 오늘은 BGP의 기능 중에서 Community를 설명해볼까 합니다. Community 자체는 BGP Best path 프로세스를 변경하지는 않지만, 경로 집합을 표시하기 위해 커뮤니티를 플래그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즉, 쉽게 말해 Community는 일부 공통 속성을 공유하는 접두사 그룹입니다 Community의 Field는 4개의 옥텟값으로 구성되어있고, 이에 따라 1 ~ 256*256*256*256(4,294,967,295)의 값을 가질 수 있습니다. 위처럼 하나의 정수로는 제어하기 어려울 수 있으니, 아래 명령어로 새로운 format 형태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ip bgp-community new-format 'aa:nn' 앞에는 AS, 뒤에는 인덱스로 기재해서 쓰는것으로 보입니다 예를 들어서,.. [#3-4]BGP AS-override, allowas-in 활용하기 지난번 포스팅에 이어서 이번에도 BGP AS-path관련하여 활용하면 좋을 command를 가져왔습니다. 저는 아직 겪어본적은 없지만, 이런 상황을 가정해봅시다. MPLS망을 이용해서 사이트간 혹은 센터와 사이트를 연결하고 있고, 각각은 BGP로 연결 되어있습니다. (Private-as던 Public-as던) 각 CE는 100이라는 같은 AS를 쓰고 있습니다. '회사 내부망이니 같은 BGP AS를 쓴다'라는 취지라고 이해해주시면 될거같습니다. 구성도로 말해봅시다. 1. 구성도 사실 어지러운 구성이지만, 어디선가는 이와 같은 구성이 필요한 곳이 있을겁니다. PE1에는 CE1의 라우팅 대역들이 정의되지않고, 모든 라우팅은 CE1에서 올라오고 있음을 가정합니다. 이때, CE1과 CE2는 정상적으로 통신을 할 .. [#3-3]BGP AS-path 정규식 활용하기 오늘은 BGP에 대한 내용중에서도 광고받는 혹은 광고하는 AS를 핸들링하기위해, 정규식을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서 설명하려 합니다 정규식을 검증하는 사이트는 아래와 같으며, test를 눌러주시면 상단 Expression에 작성한 내용이 맞는지 검증 가능합니다. 유의하실 점은 'Match full'로 하셔야 하며, 안타깝게도 이번에 설명하고자 하는 식들 중 '_'에 해당하는건 매칭이 되지않습니다.. Cisco에서 고유하게 사용하는 문자인지 잘은 모르겠습니다만 아래 사이트에서는 먹히질 않네요 . 정규식 검증 사이트 URL : https://regexr.com 1. 정규식이란? 정규식은 입력문자열과 일치하는 패턴을 나타내며, 한 정규식으로 나타낼 수 있는 문자열은 없을수도, 무수히 많을 수도 있습니다. BGP에.. [#3-2]iBGP, EIGRP redistribute에 관한 글 지난 포스팅에서 추가로 다루기로 했던 내용 전에, 하나 더 실무에서 적용하면 좋을 내용을 접해서, 공유하고자 글을 씁니다. 많은 분들께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해도해도 너무 어렵습니다 네트워크 .. 구성도 상황 설명 1) Router 1 Router 2는 iBGP Peer 2) Router 2 Router 3은 EIGRP Neighbor 3) Router 1은 192.168.100.0/24를 BGP로 광고중이며, Router 3은 10.0.0.0/8을 EIGRP로 광고중 4) Router 2는 iBGP로 받은 대역을 EIGRP로, EIGRP에서 받은 대역을 iBGP로 redistribute 중 문제 상황 #1 Router 2에서 EIGRP를 BGP로 Redistribute할 때, R1라우팅 테이블에.. [#3-1]BGP Path best selection에 대한 간단한 설명 오랜만에 글을 쓰는것 같습니다. 일이다 공부다 정신이 없어서, 가지고있는 것들을 정리하는 이 시간이 꼭 필요했었는데, 드디어 시간이 나서 간단하게 끄적여 보겠습니다. 이번 글은 네트웍쟁이들이 가장 많이 쓴다고 생각하는 BGP의 경로 선택 우선순위를 다뤄보겠습니다. CCIE를 공부하다보니, 제가 얼마나 무지했는지를 다시한번 깨닫고 초심으로.. 원래는 BGP의 동작 방식부터, 각 옵션이 가지고있는 것들을 하나하나 실습해보면서 어떻게 쓰여지는지를 보려고 했는데, 설치한 시뮬레이터가 메롱이라, , 그건 추후에 정말 상세히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각 단계별로 제가 실무를 하면서 겪었던 이슈들도 짤막하게 적어둘테니 모두에게 도움이 되었으면하고, 특히 저한테는 잊혀지지않는 지식이 되면 좋겠습니다 ! *시작하기 앞서,.. [#2] L2는 어떻게 동작할까 (심화편) 자 기초편은 운영자 혹은 실무자를 위한 게시글이였다면, 여긴 순전히 제 학습을 위한 포스팅이고 기초편보다 더 두서 없을 예정입니다. 그러면 시작하겠습니다. 현재 가장 대중적으로 쓰이는 IEEE 802.3 frame header의 구조는 아래와 같습니다. Bytes Name Description 7 Preamble ‘10101010’ bit열 전달 for 비트 동기화 1 SFD(Start Frame Delimeter) ‘10101011’ bit열 전달 for 프레임 시작을 알림 6 Destination Address 48bit, 첫번째 Bit가 1이면 Multicast, 모든 Bit가 1이면 Broadcast 6 Source Address 48bit 2 Types MAC frame의 type을 의미 XX .. [#2]L2는 어떻게 동작할까(기초편) 아마 제 글을 읽으시는 분들은 처음 시작하시는 분들이거나, 어떤 문제가 생겨서 검색을 하다가 들어오실 분들이실겁니다. 조금만 검색하면 L2가 어떻게 동작하고 어떤 원리로 실행되는지 알 수 있을 거에요. 제가 이 글을 통해 정리하고자 하는 이유는 당연스럽게 쓰고 있던 장비에 대해서, 아무것도 모르는 것과 같은 느낌을 강하게 받았기 때문이에요. 참 당황스러운 기분이였어요. 이제 실무를 4년하고도 반정도를 했지만, L2 스위치가 정확히 어떤 매커니즘으로 동작하고, 그 많은 패킷들이 어떻게 고속으로 처리되고있는지 한개도 대답을 못하겠는거에요. 그 단순한 L2 임에도 말이죠 어려운 얘기 들어가기전에, 제가 원래 알고 있던 기본적인 내용으로 시작을 해볼까합니다. 이번에 포스팅을 잘 따라오실 수 있으시다면, 심화편이.. 이전 1 2 3 4 다음